이슈파인더
목성의 지름, 목성의 표면적, 목성의 질량, 목성의 공전주기, 목성의 자전주기 본문
안녕하세요 이슈파인더입니다. 오늘도 어김없이 천문학의 지식을 가지고 돌아왔습니다. 오늘은 목성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목성은 태양계내에 5번째로 존재하는 행성으로써 가장 큰 크기로 잘 알려져 있죠, 이 목성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목성의 지름인데요, 적도지방 지름은 142,984km, 극지방 지름은 133,709km입니다. 완벽한 구형은 아니지만 거의 구에 가까운 모양입니다. 지구의 크기를 1로 봤을때 목성의 크기는 11.2입니다. 지구에 비해 무려 11.2배나 되는 크기이지요, 태양계에서 가장 작은 행성인 수성에 비해서는 무려 28배나 되는 크기를 가졌습니다. 어마어마한 크기죠. 목성의 표면적은 6.1419 × 1010 ㎢입니다. 지름에 비례해 어마어마한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목성의 질량은 1.899 × 1027 kg인데요, 큰 지름과 표면적에 비해 비교적 작은 질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이유를 뒤쪽에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목성의 공전주기는 약 11.8년입니다. 앞선 수성, 금성, 지구, 화성에 비해 꽤나 긴 공전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만큼 태양과의 거리가 많이 멀어진 이유때문입니다. 목성의 자전주기는 약 9시간 55분입니다. 지구의 자전주기의 반도 안되는 자전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목성의 중력을 보면 2.528인데 지구의 중력의 약 2.5배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구에서 100kg인 사람이 목성에 가면 무려 253kg나 나가겠네요. 목성은 태양계 내의 행성중에 가장 무겁고 가장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비록 목성이 대부분 가스로 이루어진 가스형 행성이라 질량이 부피에 비해 작지만, 태양계내에서 가장 큰 크기 때문에 그렇다고 합니다. 실제로 목성의 반지름이 지구의 11.2배, 목성의 부피는 무려 지구의 1300배가 넘는다고 합니다. 목성의 질량은 318배라고 하네요. 목성은 다른 태양계의 모든행성들의 질량을 합한것보다 그 질량이 무겁습니다. 목성은 그 대기의 성분ㄴ이 거의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많은 과학자들이 예상하기로 목성의 내부는 어마어마한 압력과 엄청난 열로 인한 상태일 것이라고 합니다. 목성 내부에서는 태양과 우주를 관측할 수 없고, 빠른 자전으로 생겨난 구름만을 관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목성의 환경에는 초속 수백미터의 태풍, 엄청난 번개가 쳐대고 압력, 열, 엄청난 중력, 방사능등으로 인한 무시무시한 상태라고 합니다. 목성의 남반구에는 커다란 점이 있는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처음 과학자들은 그 점을 목성의 분지라고 생각했지만, 후에 우주탐사선을 통한 이 분지가 거대한 소용돌이라는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무려 그 태풍의 크기가 지구 3배정도 된다고 합니다. 목성에는 토성만큼은 아니지만 희미한 고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먼지 위주로 구성된 고리는 육안으로는 관찰할 수 없었지만 우주 탐사선으로 인해 밝혀 지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1개의 고리로 알려졌다가 추가로 4개까지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태양계는 목성형 행성과 지구형 행성으로 나눌 수 있다고 하는데, 목성형 행성에는 목성과 토성, 천왕성과 해왕성이 있다고 합니다. 목성형 행성의 특징으로는 모두 가스형 행성으로써 대기상태가 험악하다는 특징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목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상으로 이슈 파인더였습니다.
'천문학 >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왕성의 지름, 천왕성의 면적, 천왕성의 질량, 천왕성의 공전주기, 천왕성의 자전주기 (0) | 2019.08.30 |
---|---|
토성의 지름, 토성의 면적, 토성의 질량, 토성의 공전주기, 토성의 자전주기 (0) | 2019.08.29 |
화성의 지름, 화성의 표면적, 화성의 질량, 화성의 공전주기, 화성의 자전주기 (0) | 2019.08.27 |
지구의 지름, 지구의 표면적, 지구의 질량, 지구의 공전주기 (0) | 2019.08.26 |
금성의 지름, 금성의 표면적, 금성의 질량, 금성의 공전주기 (0) | 2019.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