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이슈파인더

지구의 지름, 지구의 표면적, 지구의 질량, 지구의 공전주기 본문

천문학/천문학

지구의 지름, 지구의 표면적, 지구의 질량, 지구의 공전주기

이슈파인더 2019. 8. 26. 20:23

안녕하세요 이슈파인더입니다. 오늘은 지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구는 우리가 살고있는 행성이라 가장 관심있는 행성이겠죠. 먼저 지구는 완전한 원형에 가까운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지구의 지름은 12,756.25km입니다. 수성과 금성보다 크다고 할 수 있겠죠, 태양계 내에서 지구는 5번째의 크기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지구의 크기를 1로 보면 수성은 0.4, 금성은 0.9 화성은 0.5, 목성은 11.2, 토성은 9.4, 천왕성은 4.0, 해왕성은 3.9의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지구의 포면적은 5억 1,007만 2,000km 입니다. 표면적또한 수성, 금성과 비교해보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지구의 질량은 5.9736 x 1024 kg입니다, 이또한 수성, 금성과 비교해보면 큰 수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구의 공전주기는 약 365일로 완벽한 365일은 아닙니다, 이러한 이유로 4년마다 한번씩 2월29일이 생기는 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세계는 이러한 공전주기를 따라 1년을 365일로 지정하고 지구가 태양을 한바뀌 돌때마다 1년이 지나가도록 하고있습니다. 우리나라의 4계절이 뚜렷한 이유도 1년동안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죠? 지구의 자전주기는 약 24시간, 지구의 자전주기는 하루의 낮과밤을 만들어 냅니다. 지구의 평균온도는 섭씨 15도로써 지역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사람이 살기 적당한 온도입니다. 지역에 따라 최고 57도에서 최저 영하89도까지 떨어진다고 하네요. 지구는 태양주위를 도는 세번째 행성입니다. 인간이 연구한바로는 현재까지 유일하게 생명체가 존재하는 천체라고 합니다. 지구는 또한 가장 잘 연구된 행성이고, 생명체가 살기 가장 좋은 행성입니다. 인간이 살고 있기때문에 가장 잘 연구되고 가장 잘 알려진 행성입니다.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가장 큰 이유는 물과 대기층이 뚜렷하게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현재까지는 지구처럼 완벽히 생물이 존재할만한 조건이 갖춰진 행성을 찾지 못하였습니다. 지구의 표면은 70퍼센트가 물, 나머지 30퍼센트가 육지로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이런특징때문에 우주에서 보면 가장 아름다운 행성이 될 수 있습니다. 지구의 구성을 보면 가장 깊은곳인 내핵, 내핵을 둘러싼 외핵, 땅을 구성하고있는 지각과 맨틀, 우리가 숨쉬는 대기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물론 외핵과 내핵은 눈으로 확인하지는 못했지만 지진파를 통한 연구를 통해 외핵과 내핵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지구는 달 이라는 하나의 위성을 가지고 있는데 달은 지구에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달력은 달을 보고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지구의 정확한 자전시간은 23시간 56분인데 지구의 공전과 맞물려 하루를 24간으로 설정하고 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주 오래전 사람들은 대다수 지구가 평평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으나, 현대 과학이 발달하고 이는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위성이 발달함에 따라 사람들은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확실히 알게 되었습니다. 사실 어떠한 사람들은 수평선에서 배가 들어오는것을 보고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알아차린 사람들도 있었으나 의견의 대립만이 있었습니다. 오늘은 지구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상 이슈파인더였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