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파인더
명왕성의 발견, 명왕성의 현재, 명왕성의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이슈파인더 입니다. 오늘은 명왕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명왕성은 1930년 미국의 천문학자에 의해 발견된 이래 2006년까지 태양계내의 아홉번째로 위치한 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그러나 2006년 8월 국제천문연맹으로 부터 행성의 분류법이 바뀌게 되면서 행성이 아닌 왜 소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명왕성은 천문학자들이 천왕성의 궤도를 관찰하던중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근대 과학이 발달하고 천문학이 발달함에 따라 명왕성은 크기가 매우작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달보다도 반경이 작고 질량또한 작다), 이로인해 행성이 아닌 왜 소행성으로 분류가 되었습니다. 명왕성의 공전주기는 약 248년으로 지구의 공전주기인 1년보다 약 248배나 되는 공전주기를 가지고 있으며 자전주기는 약 6일 9시간이라고 합니다. 보통 행성의 자전주기보다 훨씬 긴 자전주기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명왕성의 평균온도는 태양으로부터 너무 떨어진 거리때문에 영하 248도를 기록한다고 하고 생명체가 살만한 환경이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또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는 특징이 있습니다. 최소 630배가 밝아져야 겨우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명왕성은 매우 작은 천체로 알려져 있는데요, 그 질량이 지구의 약 0.24퍼센트밖에 되지 않는다고 하고 직경또한 달의 66퍼센트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대략 남아메리카 대륙과 비슷한 표면적을 가지고 있다고 하네요. 명왕성은 대부분 얼음과 바위로 이루어져 있을것이라고 추측되고 있습니다. 명왕성의 이름으 유래는 고대 그리스로마신화의 지하의 신 하데스로부터 나왔다고 합니다. 하데스를 로마에서 플루토 라고 불렀다고 하는데 그 이름으로부터 유래하여 플루토 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잘못알기로 행성의 지위가 박탈당하면서 이름까지 박탈당한것으로 오해하고 있는데, 그 이름은 변하지 않고 명왕성 이라는 이름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고 하니 오해없이 명왕성, 이라고 부르시면 될 것 같습니다. 2006년 체코 프라하에서 국제 천문연맹 총회가 열렸습니다. 그곳에서 행성의 조건이 정리되었는데, 바로 첫번째,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할 것, 두번째 중력으로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할 능력, 세번째로 자기 주변 궤도의 모든 천체들을 위성으로 만들거나 또는 밀어낼 능력이 있어야 한다. 라고 지정되었습니다. 결국 명왕성은 세번째 조건에 부합하지 못하여 태양계 행성중 공식적인 배제를 통해 왜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저도 그때 뉴스가 어렴풋이 기억이 나는 것 같습니다. 다들 너무나도 익숙하게 명왕성이 태양계 내의 행성으로 존재한다 라는것을 알고있었는데, 돌연 뉴스에서 명왕성이 태양계내 행성의 지위를 박탈당했다, 라는 뉴스를 보고 적잖은 충격을 받았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 명왕성이 다시 태양계의 행성중 하나로 복귀될 가능성은 '없다'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2006년에 있었던 태양계 행성의 조건이 다시 바뀌지 않는 이상 이변은 없을 것입니다. 명왕성은 가장 거리가 먼 탓인지 많은 연구 결과들이 없고 또 설령 가까이 있다고해도 가장 특징이 적은 천체일 것입니다. 명왕성은 특이하게도 많은 애니메이션의 소재가 되고 있습니다. 은하철도 999와 개구리 중사 케로로 등 몇몇 애니메이션의 좋은 소재가 되어 그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고 하네요. 오늘은 명왕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슈파인더였습니다.
'천문학 >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과 별자리, 별자리란, 별자리의 종류, 별자리의 특징, 별자리의 뜻 (0) | 2019.09.04 |
---|---|
태양의 지름, 태양의 질량, 태양의 자전주기, 태양의 온도 (0) | 2019.09.02 |
해왕성의 지름, 해왕성의 면적, 해왕성의 질량, 해왕성의 공전주기, 해왕성의 자전주기 (0) | 2019.08.31 |
천왕성의 지름, 천왕성의 면적, 천왕성의 질량, 천왕성의 공전주기, 천왕성의 자전주기 (0) | 2019.08.30 |
토성의 지름, 토성의 면적, 토성의 질량, 토성의 공전주기, 토성의 자전주기 (0) | 2019.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