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이슈파인더

해왕성의 지름, 해왕성의 면적, 해왕성의 질량, 해왕성의 공전주기, 해왕성의 자전주기 본문

천문학/천문학

해왕성의 지름, 해왕성의 면적, 해왕성의 질량, 해왕성의 공전주기, 해왕성의 자전주기

이슈파인더 2019. 8. 31. 08:27

안녕하세요 이슈 파인더입니다. 오늘은 태양계 내의 마지막 행성인 해왕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왕성은 과거 태양계내의 행성으로 인정해야 하느냐 말아야하느냐 논란의 주인공이였던 행성인데요. 오늘 해왕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해왕성은 적도지름 49,528km, 극지방 지름 48,682km로 거의 완벽한 구에 가까운 행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해왕성의 면적은 7.619×109 ㎢, 해왕성의 질량은 1.0243×1026 kg입니다. 목성형 행성치고는 비교적 작은 질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구의 크기를 1로 가정했을때 해왕성의 크기는 3.9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구의 약 3.9배의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앞서 보았던 천왕성과 크기가 거의 유사한 특징을 보여주는데요, 그래서 쌍둥이 행성이라는 소리가 있는 것 같습니다. 해왕성의 공전주기는 약 164.8년으로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인 만큼 가장 긴 공전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무려 지구공전주기의 약 165배나 되는 공전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태양 한바뀌 도는데 165년이나 걸린다는 것이죠. 해왕성의 자전주기는 약 16시간 6분이라고 합니다. 이 자전주기도 천왕성과 비슷한 자전주기를 보여주네요. 해왕성의 평균온도는 약 영하 218도라고 합니다. 이 온도마저 천왕성과 비슷한 온도를 보여주는것이 특징입니다. 해왕성의 중력은 1.14입니다. 지구의 중력이 1인것에 비해 약간 큰 중력을 보여주네요. 지구에서 100kg인 사람이 해왕성으로 가면 114키로가 되는 것 입니다. 해왕성은 이름에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요, 한자 중 바다 해 자를 써서 해왕성이라고 합니다. 또한 그리스 신화중 바다의 신 포세이돈의 이름으로부터 유래했다고 합니다. 천왕성과 비슷한점을 찾아보면 먼저 그 크기에 있습니다. 거의 유사한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해왕성의 표면이 더 푸른색을 띄고 있지만 그 성분에 의해 푸른빛을 띄는것도 천왕성과 거의 유사하다고 합니다. 토성은 그 꼬리로 인해 인기가 많은 행성이라고 하면 해왕성은 짙은 푸른색으로 인한 인기가 많다고 합니다. 천왕성과 다르게 해왕성은 눈으로는 관측할 수 없다고 하는데요, 이로 인해서 과거 망원경이 없을 시절에는 해왕성에 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없다고 합니다. 다만 아직은 천왕성의 멀리떨어진 거리로 인해서 해왕성에 대한 관측기록은 많지는 않다는것이 단점입니다. 해왕성의 표면은 대부분 고체와 액체형태가 섞여있는 메탄으로 이루어져있는 바다로 이루어져있을것이라는 추측이 존재합니다. 천왕성의 대기활동이 거의 없었던것에 비해 해왕성은 비교적 활발한 대기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또 태양으로부터 빛을 거의 받을 수 없어 암흑속에 존재할 것이라는 추측또한 존재합니다. 아무리 천왕성과 해왕성의 대기활동이 비교적 적다고는 하지만 목성형 행성의 특징인 초속 수백미터의 태풍과 엄청난 번개가 치는것은 다르지 않다고 하네요. 현재까지 해왕성에 도달한 탐사선은 오직 1대뿐이라고 합니다. 멀리 떨어진 거리 때문에 탐사선으로부터 지구까지 교신하는 시간만 무려 4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 때문에 데이터를 수집하기에 굉장히 어렵고 정보가 부족한 것이 해왕성의 특징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해왕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알아보면 알아볼수록 흥미로운 천문학인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슈파인더였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