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이슈파인더

은하수란, 오로라 란, 오로라의 생성원리, 오로라의 유래 본문

천문학/천문학

은하수란, 오로라 란, 오로라의 생성원리, 오로라의 유래

이슈파인더 2019. 9. 6. 21:08

안녕하세요 이슈파인더입니다. 오늘은 천문학의 흥미로운 내용들 가운데 바로 은하수와 오로라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은하수란 어떤것일까요? 은하수를 알기 위해선 우선 우주의 단위를 아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우리가 밟고 있는 땅은 바로 지구라는 행성입니다. 지구라는 행성은 태양이라는 항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태양계 라는 행성들의 집합체 안에 존재합니다. 태양계라는 집합이 지구라는 행성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죠, 사실 이크기로만 봐도 어마어마한 크기입니다 지구에서 태양계 끝 마지막행성까지 전파를 송수신 하는것만 4시간 이상이 걸린다니 말이죠. 하지만 이 태양계 밖의 우주로 나가보면 그 우주는 정말 우리가 상상할 수 없을만큼 크다고 합니다. 여기서 '우리은하' 라는것이 등장하는데 태양계는 우리은하의 일부분으로 존재합니다. 지구에서 관측가능한 은하수는 바로 이 우리은하의 중심부를 관측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은하수는 바로 우리은하에 존재하는, 그 갯수가 수십, 수백억개의 별들로 이루어진 띠 모양이 길게 강처럼 펼쳐진 것입니다. 우리나라가 위치하는 북반구에서의 관측 기준으로 볼때 겨울철보다 여름철에 은하수를 비교적 관찰하기 쉽다고 합니다. 은하수를 관측하기 위해서는 주변의 환경또한 중요하다고 합니다. 달이 뜬 밝은 환경에서는 은하수를 관측하기 어렵고 또한 공기가 오염되어있지않은 청명한 하늘에서 관측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또 주변의 환경이 너무 밝으면 관측하기 힘들다고 하네요, 은하수를 부르는 순 우리말은 바로 '미리내'라고 합니다. 용이 승천해서 사는 내 라는 뜻이라고 하네요. 이제 오로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로라는 주로 지구의 극지방에서 관측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다른행성들의 이름과 마찬가지로 그리스로마신화의 여신이름에서 유래하여 오로라 라는 이름이 지어졌다고 합니다. 오로라는 관측가능한 천문현상중 매우 아름답기로 유명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천상의 커튼'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을정도라고 하네요. 오로라는 주로 녹색으로 이루어 졌다고 합니다. 요즘은 과학이 발달함에 따라 오로라를 실제적으로 관측이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그 광경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보면 정말 아름다워서 눈을 뗄수 없을것 같네요. 이런 아름다운 오로라가 왜 생겨나는 것일까요? 생성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로라는 지구뿐만 아니라 다른 행성들의 극지방에서도 그 모습을 종종 찾아볼수 있는데요, 그 생성이유는 바로 자기장대문이라고 합니다. 태양에서 날아오는 태양풍이 지구에 가까이 도달하게되면 대부분 지구 밖으로 흩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그 중 일부만이 북극과 남극같은 극지방에 남아 모이게 된다고 합니다. 이것이 대기와 충돌하게 되면서 생상된다고 합니다. 태양의 흑점이 크게 폭발하게되면, 다른말로 태양의 활동이 활발하게 되면 그만큼 오로라를 볼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이 이유로 오로라는 11년을 주기로 적어졌다 많아졌다를 반복하게 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름다운 외관과 다르게 극소량이지만은 조금의 방사는 성질을 띄고 있다고 하네요. 오늘은 아름다운 우주의 현상인 은하수와 오로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상으로 이슈파인더였습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