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파인더
혜성이란,혜성의 원인, 핼리혜성 본문
안녕하세요 이슈파인더 입니다. 오늘은 천문학의 흥미로운 내용들가운데 혜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흔히 별똥별이라 부르는 혜성이 어떻게 생기는지, 왜 생기는지 알아보도록 하죠. 혜성이라 하면 태양계 내의 작은 천체입니다. 혜성은 머리와 꼬리로 구분할수 있는데요. 혜성이 이동하는 도중 태양의 열에 의해 녹게되면서, 핵(머리)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가스가 길게 생겨나는게 바로 꼬리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혜성은 계절의 변화에 따라 일정한 주기로 관측할 수 있는 행성이나 항성과는 다르게 그 출볼이 불규칙적인 특성이 있습니다. 과거에는 이 갑작스러운 혜성의 특성때문에 혜성을 불길한 징조로 보았다고도 하는데요, 이는 세계 대부분에서 공통적인 인식이였다고 합니다. 또한 어떠한 과학자들은 혜성을 천문학적인 운동이 아니라 대기권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인식하는 사례도 있었다고 하네요. 근대로 넘어오게 되면서 천문학의 관측 자료들이 축적되게 됩니다. 천문학자 중 한명인 핼리는 혜성의 출몰에 일정하게 나타나는 규칙이 있다는것을 추측하게 됩니다. 어떤 특정한 혜성이 궤도가 일치함을 발견하게 되고, 또 이것이 약 75~76년을 주기로 반복되어 나타나는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 혜성이 바로 핼리 혜성이라고 불리는 천체입니다. 혜성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다고 합니다. 첫번째로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있는 주기혜성과, 그렇지 못한 비주기 혜성이 있다고 하지요. 주기혜성은 일정한 주기로 태양근처까지 다가오는 특징을 보이고, 비주기 혜성은 1회 태양으로 가까이 접근했다가 다시 태양으로부터 계속 멀어저가는 혜성이라고 합니다. 혹은 그 돌아오는 주기가 천년이상인 천체라고 하네요. 비주기 혜성은 일반 혜성과 다르게 그 공전속도가 너무나도 빨라서 태양의 끌어당기는 힘을 벗어나기 때문에 나타난다고 합니다. 혜성은 소멸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고 합니다. 그 몇가지 경우를 살펴보면, 일단 목성과 같이 거대한 중력을 가지고 있는 행성에 끌어당겨져서 위성으로 되어버리는 경우, 그다음은 태양으로 너무 가까이 접근한 나머지 증발해버리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혹은 다른 천체들과 충돌해버리는 일도 있다고 합니다. 지구에서 혜성을 가장 관측하기 쉬울때는 바로 혜성이 태양에 가까이 접근했을때라고 합니다. 태양에게 가까이 접근했을때 바로 혜성의 꼬리가 생겨나게 되는데 가까이 갈수록 그 꼬리의 길이는 더욱 길어진다고 합니다.한편으로 이 꼬리가 생기는 혜성의 특성은 바로 혜성의 구성물질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혜성은 태양에 쉽게녹을 수 있는 물질들을 함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혜성은 얼음과 각종 기체들을 포함하고 있는 덩어리 입니다 따라서 이 녹는물질들의 녹는속도 때문에 어쩔때는 혜성의 고리가 두개가 관측되기도 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혜성의 구성요소들 때문에 한때는 지구의 성장에 대해서 그 시초가 어딘가 하는 문제에 대해 그 근원을 연구하게되는 시초가 되기도 했다고 합니다. 가장 유명한 핼리 혜성에 대해 조금더 알아보자면, 핼리혜성은 과거 1910년과 1986년 지구에서 관측이 되었다고 합니다. 다음 핼리 혜성의 접근날짜는 약 2061년7월28일로 예측하고 있으며, 이때는 관측하기가 좋은 환경일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오늘은 흥미로운 혜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감사합니다 이슈파인더 였습니다.
'천문학 >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원경이란, 망원경의 원리, 망원경의 종류, 천체 관측 (0) | 2019.09.18 |
---|---|
유성이란, 유성의 원인, 별똥별, 유성의 전설, 운석이란 (0) | 2019.09.16 |
지구의 위성, 달, 달의 공전주기, 달의 지름, 달의 질량, 달의 기원, 달의 영향 (0) | 2019.09.12 |
블랙홀이란, 블랙홀의 생성원인, 블랙홀의 특징, 블랙홀의 영향 (0) | 2019.09.10 |
우리은하, 우리은하의 특징, 우리은하의 구조, 우주의 크기 (0) | 2019.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