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파인더
망원경이란, 망원경의 원리, 망원경의 종류, 천체 관측 본문
안녕하세요 이슈파인더 입니다. 오늘은 지구에서 어떻게 천체를 관측하는가, 천문학이 발전하게된 중요한도구인 망원경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망원경이란 먼곳에 있는걸 관측할때 쓰이는 도구를 말합니다. 망원경은 눈에 보여지는 광선인 가시광선을 통해 일반적으로 관측을 하지만, 전자기파를 이용한 망원경의 종류도 존재한다고 합니다. 망원경의 개발은 1608년 네덜란드의 안경원으로 부터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처음 망원경은 렌즈를 사용한 굴절망원경이라고 하고, 이후 거울을 사용한 반사 망원경이 개발되어 현대의 대형망원경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고 합니다. 잘 알려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후에 망원경을 개량하기시작하여 계속되는 발전에 이르러 현대에는 우주 공간에 망원경을 띄워놓기까지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천체를 관측할만큼의 망원경은 기능이 뛰어나야하기 때문에 상당히 고가의 몸값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굴절망원경은 망원경으로 렌즈로 들어오는 빛의 굴절하는 원리를 사용하는 것으로 깨끗하고 비교적 안정적인 상을 보여주는 특징이 있으나, 빛이 직접 투과해야하기 때문에 큰 렌즈를 만들기 어렵다는 특징또한 있습니다. 굴절망원경에는 갈리레이식과 케플러 식이 존재하는데, 고성능 망원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케플러식 천체망원경이 더 많이 쓰인다고 합니다. 반사망원경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사망원경은 빛의 직접적인 투과가 아니라 빛이 거울에 반사되는 원리를 이용한 망원경 입니다. 반사망원경은 그 종류가 8가지 이상으로 매우 많은것이 특징입니다. 이렇게 많은 종류의 망원경이 생긴이유는 망원경의 통 안에 어떠한 종류의 거울을 사용하는가, 종류에 따른 분류와, 또 거울을 어떻게 배치 하느냐에 따른 종류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굴절망원경에 비해 반사 망원경은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고, 일관적이지 않은 형식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대의 광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반사망원경의 렌즈는 형태를 더욱 달리하고 있습니다. 주 거울의 모양이 타원형에서 구형에까지 이르게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발전한 형태인 우주망원경은 지구에서 우주를 관측할 때 가장 방해가 되는 요소인 대기가 시야를 가리는 것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텅빈 암흑의 공간인 우주는 천체로부터 오는 빛을 방해없이 받기에 가장 좋은 곳이고 어떠한 장애물없이 천체를 관측하기에 최적인 장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1990년 4월 우주왕복선에 최초의 우주망원경인 허블망원경이 탑제되었습니다. 허블망원경은 천체 관측을 급진적으로 발전시키는데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허블망원경은 지구상공 약 610키로미터 지점에서 우즈를 관측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우주에서 약 4번의 수리를 받아 지속적으로 임무를 수행중에 있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최근에는 지구와 닮은 행성을 찾고있는 '케플러'라 불리는 우주 망원경이 있습니다. 케플러는 현재 약 15만개의 별을 관측하는중이고 넓은 영역을 관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지금까지도 많이 발전한 망원경들이 있지만 앞으로 더 많은 천문학적 발전이 있을것이고 실제로 사람이 살만한 행성이 발견될 수도 있을것이라는 기대가 있습니다. 오늘은 망원경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상으로 이슈파인더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천문학 >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성이란, 유성의 원인, 별똥별, 유성의 전설, 운석이란 (0) | 2019.09.16 |
---|---|
혜성이란,혜성의 원인, 핼리혜성 (0) | 2019.09.14 |
지구의 위성, 달, 달의 공전주기, 달의 지름, 달의 질량, 달의 기원, 달의 영향 (0) | 2019.09.12 |
블랙홀이란, 블랙홀의 생성원인, 블랙홀의 특징, 블랙홀의 영향 (0) | 2019.09.10 |
우리은하, 우리은하의 특징, 우리은하의 구조, 우주의 크기 (0) | 2019.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