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이슈파인더

유성이란, 유성의 원인, 별똥별, 유성의 전설, 운석이란 본문

천문학/천문학

유성이란, 유성의 원인, 별똥별, 유성의 전설, 운석이란

이슈파인더 2019. 9. 16. 21:45

안녕하세요 이슈파인더 입니다. 오늘은 천문학의 내용들 중 유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람들은 유성을 좋아한다고 합니다. 바로 그 이유는 유성이 소원을 이뤄준다는 전설때문이겠죠. 유성은 우주에서 지구의 대기권을 지나 빛을내며 떨어지는 천체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다들 아는쉬운말로 흔히 별똥별이라고도 부르지요. 유성은 대부분이 우주로부터 대기권을 돌파하면서 그 속도로 인한 고열로 인해 타버리는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간혹 크기가 큰 유성이 대기권을 통과하여 지구의 땅으로까지 떨어지는것을 '운석'이라고 부르게 됩니다. 또한 혜성이 지나간 자리에 찌꺼기들이 남게 됩니다. 이 찌꺼기들이 모여있는 '유성군'이라고 부르는 곳이 지구의 궤도와 겹쳐지는 때가 있다고 합니다. 이때 지구의 중력에 의해 혜성의 잔해물들이 끌려들어오게 되고 여러개의 유성이 동시에 떨어지는데 마치 비와 같다고 하여 '유성우'라고 부르게 됩니다. 유성은 관측하기가 쉬운편은 아니라고 합니다. 우선 떨어지는 유성의 크기가 대부분 작은것들이라 떨어지는 도중에 빠르게 타버리게 되변서 잠깐의 빛만 관측한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또한 요즘 도심에서는 주위가 매우 밝기 때문에 그 빛에 가려 더욱더 관측하기가 힘들구요. 유성은 떨어지는 주기가 일정하지 않아 타이밍 맞게 하늘을 관측하지 않는 이상 관찰하기가 어렵다고 합니다. 많은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유성이 대기권을 통과하며 마찰로 인해 빛이 발생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실제적으로는 떨어지는 천체 자체가 아닌, 천체가 지나는 대기에서 빛을 내는것이라고 합니다. 유성의 중심이라고 볼수 있는 유성떨어지는 자체를 가리키는 유성체는 그 크기가 80미터가 넘을경우에 땅에 떨어지는도중에 다 타지못하고 운석이 된다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운석이 떨어질때 하는 행동이 있습니다. 바로 소원을 비는 행동인데요, 이 관습은 굉장히 오래되었다고 합니다. 고대의 그리스부터 이어져온 이 관습은 그리스 로마의 신화들과 연관되었다고 믿었다고 합니다. 유성에는 또 다른관습이 있는데요, 과거에 사람들은 저마다의 별이 존재한다고 믿었습니다. 따라서 누군가가 죽었을때 그들의 별이 떨어진다고 믿었는데 이는 안데르센의 동화중 하나인 성냥팔이 소녀에서도 나오는 내용이라고 합니다. 여러이야기들에서 복선으로 사용되기도 하는 별똥별이라고 합니다. 이제 운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운석은 지구밖의 우주에 존재하는 암석들이 지구 주변을 지나다가 지구의 중력에 이끌려 땅으로 떨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운석은 굉장히 희귀하기 때문에 아주 비싼 몸값을 자랑한다고 합니다. 연구할만한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혹시라도 운석내에 우주의 새로운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다면 바로 부르는게 값이라고 하니 실제로도 운석을 노리는 운석사냥꾼들도 있을정도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기록상으로 지구에 떨어진 가장 큰 운석은 바로 8만여년 전에 아프리카에 떨어진 호바운석 이라고 합니다. 호바운석의 무게는 약 60톤정도로 어마어마한 크기를 자랑하고 있고 지금까지도 관찰할 수 있다고 하네요. 1955년에는 국가 문화제로까지 지정되기도 했습니다. 이상으로 오늘은 유성과 운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상으로 이슈파인더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