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이슈파인더

금성의 지름, 금성의 표면적, 금성의 질량, 금성의 공전주기 본문

천문학/천문학

금성의 지름, 금성의 표면적, 금성의 질량, 금성의 공전주기

이슈파인더 2019. 8. 25. 20:30

안녕하세요 이슈파인더입니다. 오늘은 금성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금성역시 지구와 같이 태양계 내 행성으로써 알려져 있습니다. 금성또한 지구에서 관측할 수 있는 행성으로써 3번째로 밝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첫번째로 밝은 천체는 태양, 두번째로 밝은 천체는 달 이므로 사람들이 별이라고 생각하는 천체중에서는 가장 밝다고 할 수 있죠, 금성은 또한 제일 밝다고 하는 항성인 시리우스보다는 약 25배 밝다고 합니다. 금성의 색은 밝은 노란색으로써 화려한 특징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루시퍼나 비너스처럼 아름다운 또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다고 하네요. 금성의 지름은 12,103.7km로써 수성보다 약 2.5배큰 크기를 가지고 있고, 금성은 지구의 최대지름인 12,756.25km와 비슷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금성의 표면적은 4.60x108㎢ 로써 수성보다 큰 표면적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 역시 한국보다 넓은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금성의 질량은 4.869x1024 kg인데요 , 지름과 표면적, 질량 모두 수성보다 큰 행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금성의 공전주기는 약 225일인데요 지구의 공전주기인 365일에 비해서는 작은 공전주기를 가지고 있고 수성의 공전주기인 88일에 비해서는 큰 공전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금성의 자전주기는 약 243일인데요 지구의 자전주기에 비해 약 243배나 되는 자전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비교적 긴 자전주기로 인해 최고온도와 최저온도의 차이가 심하다고 합니다. 금성의 중력을 살펴보면 금성의 중력은 0.9정도 되는데 수성보다는 2배이상의 중력을 가지고 있고 지구보다는 작거나 비슷한 중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금성에서 느끼는 중력은 지구에서의 중력과 흡사하다고 할 수 있겠네요. 금성은 우리말로 표현하면 샛별 또는 개밥바라기로 표현한다고 합니다, 서양에서의 이름의 유래는 그리스 로마신화에서의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신 베누스에서 전해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금성은 목동들이 이별을 보고 양떼를 데리고 이동했다고 해서 목동별이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 금성의 자전주기는 243일이고 공전주기는 225일입니다. 이것은 특이하게도 1년보다 하루가 긴 현상을 나타낸다고 하네요 , 또 지구와는 다르게 거꾸로 자전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특징으로 인해 해가 서쪽에서 뜨는 현상이 생긴다고 합니다. 금성은 지구보다 공전궤도가 작기때문에 계속 관측할 수 있는건 아닙니다. 해가 뜨기전 잠깐 혹은 해가 진 직후 잠시동안 관측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옛날 사람들은 금성을 사람이 살기좋은 행성일 것이라고 추측했습니다. 금성을 지상낙원으로 생각했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금성의 온도를 계산해보니 그 온도가 섭씨 27도 정도로 지구와 비슷할 것이라는 계산이 나왔다고 합니다. 이처럼 금성은 지구와 여러가지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지구와 중력이 비슷한 행성이고, 지구와 크기가 비슷한 행성, 지구와 표면적이 비슷한 행성, 이같은 이유들 때문에 옛날 사람들은 금성에 사람이 살 수 있을것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렇게 해서 오늘은 금성에 대한 이슈파인더의 작은 이야기를 마무리 짓도록 하겠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