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4)
이슈파인더
안녕하세요 이슈파인더 입니다. 오늘은 천문학의 흥미로운 내용들중 가장 흥미로운 내용일수 있는 블랙홀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블랙홀이란 엄청난 중력을 가진 천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블랙홀의 질량은 태양질량의 대략 65억배정도이고 블랙홀의 지름은 약 380억 키로미터나 된다고 합니다. 그 크기를 가늠할 수 없을정도로 그타고 할 수 있습니다.모든 물질에는 서로간의 잡아당기는 힘이 존재합니다. 이것을 만류인력이라 부르고, 지구에서는 중력의 작용으로 인간이 살수 있게 됩니다. 이 중력을 이기고 탈출하려면 약 초당 11.2키로미터의 속력을 가져야 하는데 이 속도를 바로 탈출속도라고 부릅니다.블랙홀에도 이 탈출속도가 적용됩니다. 물체가 블랙홀을 탈출하려면 빛보다도 빨라야 합니다. 따라서 블랙홀에서는 빛을 포..
안녕하세요 이슈파인더 입니다. 오늘은 천문학의 내용들 가운데 우리가 속해있는 태양계, 바로 이 태양계가 속해있는 우리은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은하의 이름은 바로 우리의 은하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밤하늘에 간혹 관측이 가능한 은하수가 바로 우리은하 중심부의 단면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우리은하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은하는 우주가운데서 상당히 큰 은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거대한 은하 두개를 꼽자면 바로 안드로메다 은하와 우리은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은하의 지름은 빛의속도로 약 10만년을 가야한다고 할 정도니 어마어마한 크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빛의 속도가 어느정도인지 감이 안잡히시는분들을 위해 설명해드리자면, 빛의 속도는 1초에 지구 7바퀴 반을 돌수있을정도로..
안녕하세요 이슈파인더입니다. 오늘은 천문학의 흥미로운 내용들 가운데 바로 은하수와 오로라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은하수란 어떤것일까요? 은하수를 알기 위해선 우선 우주의 단위를 아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우리가 밟고 있는 땅은 바로 지구라는 행성입니다. 지구라는 행성은 태양이라는 항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태양계 라는 행성들의 집합체 안에 존재합니다. 태양계라는 집합이 지구라는 행성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죠, 사실 이크기로만 봐도 어마어마한 크기입니다 지구에서 태양계 끝 마지막행성까지 전파를 송수신 하는것만 4시간 이상이 걸린다니 말이죠. 하지만 이 태양계 밖의 우주로 나가보면 그 우주는 정말 우리가 상상할 수 없을만큼 크다고 합니다. 여기서 '우리은하' 라는것이 등장하는데 태양계..
안녕하세요 이슈파인더입니다. 오늘은 천문학가운데서 조금 가볍고 흥미로운 내용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별자리인데요 별자리는 그 수가 엄청나고 또 그만큼 거기에 담긴 재미있는 이야기들도 있으니 아마 지루한 내용이 아닐거라 생각이 됩니다. 그럼 별자리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하죠. 일단 별에 대해서 먼저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별이란 사전적인 의미로는 밤하늘에 관측가능한 빛나는 천체를 이르는 말입니다. 별자리란 바로 별들이 모여있는것에 사람들이 그 모양을보고 이름을 붙여준것을 말합니다. 과거에는 그 별들 자체를 별자리로 불렀다면 현대 천문학이 발달함에따라 별자리에 대해 정의하기를 별 자체가 아닌 그 공간전체를 별자리로 칭한다고 합니다. 그의미가 조금 확대된 것이죠.최초의 별자리는 어디서부터 나왔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슈 파인더입니다. 오늘은 드디어 10번째 이야기 태양계의 중심 태양 에 대해서 알아볼 계획입니다. 우리가 매일매일 보고 있는 천체, 너무나도 가까이 알고 있는 천체, 그 누구라도 알고 있는 천체인 태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태양은 항성입니다. 항성이라는 것은 행성과 다르게 스스로 핵융합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고 빛을 내는 천체를 뜻하며 대표적으로 태양을 들 수 있습니다. 우리은하내에 대략 항성이 1000억개 정도가 존재할 것이라고 추정된다고 합니다. 우주의 크기가 얼마나 넓은지 감이 오시나요.. 태양의 크기는 1,392,684+-130km라고 합니다. 그 크기가 지구의 약 109배나 된다고 하니 어마어마한 크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태양의 질량은 1.98855 × ..
안녕하세요 이슈파인더 입니다. 오늘은 명왕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명왕성은 1930년 미국의 천문학자에 의해 발견된 이래 2006년까지 태양계내의 아홉번째로 위치한 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그러나 2006년 8월 국제천문연맹으로 부터 행성의 분류법이 바뀌게 되면서 행성이 아닌 왜 소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명왕성은 천문학자들이 천왕성의 궤도를 관찰하던중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근대 과학이 발달하고 천문학이 발달함에 따라 명왕성은 크기가 매우작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달보다도 반경이 작고 질량또한 작다), 이로인해 행성이 아닌 왜 소행성으로 분류가 되었습니다. 명왕성의 공전주기는 약 248년으로 지구의 공전주기인 1년보다 약 248배나 되는 공전주기를 가지고 있으며 자전주기는 약 6일 9시간..
안녕하세요 이슈 파인더입니다. 오늘은 태양계 내의 마지막 행성인 해왕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왕성은 과거 태양계내의 행성으로 인정해야 하느냐 말아야하느냐 논란의 주인공이였던 행성인데요. 오늘 해왕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해왕성은 적도지름 49,528km, 극지방 지름 48,682km로 거의 완벽한 구에 가까운 행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해왕성의 면적은 7.619×109 ㎢, 해왕성의 질량은 1.0243×1026 kg입니다. 목성형 행성치고는 비교적 작은 질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구의 크기를 1로 가정했을때 해왕성의 크기는 3.9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구의 약 3.9배의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앞서 보았던 천왕성과 크기가 거의 유사한 특징을 보여주는데요,..
안녕하세요 이슈파인더입니다. 오늘도 태양계의 행성중 하나인 천왕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천왕성은 태양계 내에서 7번째 위치하고 있는 행성입니다. 천왕성 역시 목성형 행성으로 비교적 큰 행성의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먼저 천왕성의 지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천왕성의 적도지름은 51,118km 이고 천왕성의 극 지름은 49,946km 입니다. 역시 거의 구에 가까운 모양을 띄고 있습니다. 지구의 크기를 1로 가정하였을때 천왕성은 4의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구크기의 4배가 된다는 이야기 입니다. 천왕성의 면적은 8.084×109 ㎢이고 천왕성의 질량은 8.6832×1025 kg입니다. 큰 크기만큼이나 상당히 큰 면적과 질량을 가지고 있는것이 특징입니다. 다음은 천왕성의 공전주기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슈 파인더입니다. 오늘도 어김없이 돌아왔습니다. 오늘은 토성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토성은 태양계 내 6번째 위치한 행성입니다. 토성은 목성과 같이 목성형 행성으로써 행성을 둘러산 고리로 널리 알려져있는 행성입니다. 토성 또한 목성과 같이 어마어마한 크기를 가지고 있고 태양계내의 행성중 2번째 크기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토성의 크기는 적도 지름 120,536km, 극지방 지름 108,728km 으로써 타원형보다 구형에 가깝지만 또 완전한 구형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토성의 크기는 지구의 크기를 1로 가정하였을때 9.4의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무려 지구의 9.4배나 되는 크기를 가지고 있는 것이죠. 토성의 면적은 4.27×1010 km2입니다. 그 크기에 비례하여 면적또한 엄청난 크기를 ..
안녕하세요 이슈파인더입니다. 오늘도 어김없이 천문학의 지식을 가지고 돌아왔습니다. 오늘은 목성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목성은 태양계내에 5번째로 존재하는 행성으로써 가장 큰 크기로 잘 알려져 있죠, 이 목성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목성의 지름인데요, 적도지방 지름은 142,984km, 극지방 지름은 133,709km입니다. 완벽한 구형은 아니지만 거의 구에 가까운 모양입니다. 지구의 크기를 1로 봤을때 목성의 크기는 11.2입니다. 지구에 비해 무려 11.2배나 되는 크기이지요, 태양계에서 가장 작은 행성인 수성에 비해서는 무려 28배나 되는 크기를 가졌습니다. 어마어마한 크기죠. 목성의 표면적은 6.1419 × 1010 ㎢입니다. 지름에 비례해 어마어마한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목성의 질량은 1..